Programmer's Progress

깃허브로 프로젝트 관리하기 본문

소소한 일상

깃허브로 프로젝트 관리하기

Blanc et Noir 2022. 2. 25. 22:15

이제야 깃허브를 배우면서 소스코드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사실, 블로그에 개발과 관련된 공부를 한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조금씩 내용을 정리하고 포스팅하면 그래도 도움이 될 것이기에 굳이 깃허브를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블로그에 올리는 것만으로 되겠지 싶었던 것은 혼자만의 착각이었다.

내가 깃허브를 배우고 활용해야겠다고 생각했던 것은 DBMS를 Oracle에서 MariaDB에 맞게 변경하면서

문제가 발생했고, 기존에 백업했던 소스코드로 다시 작업을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어째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전에 백업을 했었는지, DBMS연동이나

SQL Mapping과는 상관없는 많은 부분들에 영향이 있었다.

 

 

 

 

가령 도서대출 웹서비스라는 말이 어울리게끔, 도서 대출 신청과 대출 현황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해두었지만, 백업본을 확인해보니 전혀 구현이 안 되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소스코드를 일부 개선했는데, 그 부분들도 누락되어있었다.

어찌어찌 기억을 더듬어가며 겨우 다시 복구하긴 했지만, 충격이 가시질 않았다.

 

 

 

 

 

블로그를 신뢰하며, 블로그에 개발과 관련된 공부, 프로젝트 내용들을 포스팅하고

백업은 그냥 컴퓨터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해두면 되겠지... 생각했던 내가 한심했다.

물론 백업은 성공적으로 되긴 했다. 개발 진척도가 아예 0%로 돌아간 것은 아니었으니까...

 

 

 

 

 

하지만, 컴퓨터든, 클라우드 서버든, USB든 어디든 저장해둔 백업본들의 버전이 모두 같게끔

동기화해두지 않았기에, 어떤 백업본이 가장 최신의 버전인지 도저히 알 수도 없었고

백업 주기가 상당히 길어, 백업의 의미가 없는 것만 같았다.

 

 

 

 

물론, BOJ나 프로그래머스 같은 온라인 저지 사이트에서 해결한 알고리즘 일부 문제들은

설루션을 미리 업로드해두었기에 다행이었다.

 

기존에 BOJ의 솔루션을 깃허브에 업로드 해둔 모습

 

 

위의 사진을 보니 알고리즘 공부를 다시 시작해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그런데 알고리즘 공부도 다시 시작하긴 해야 하는데 요즘 상당히 바쁘다.

학교 수업, 정보처리기사 시험, 토익 시험, 개인 프로젝트, DBMS공부, Spring 등등...

그나마 방학 때마다 목표를 정하고 공부를 해왔으니 망정이지, 안 했으면 정말 큰일 날 뻔했다.

 

 

 

 

그리고 토익시험 점수든, 기사 자격증이든 실제 개발 역량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졸업요건이라 어쩔 수 없이 손을 대야만 한다.

 

 

 

 

토익이야 전공이 전공이니만큼 가볍게 공부해도 되지만,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개정된 이후로는

기사 자격증 중에서는 그래도 쉬운 편이긴 하지만, 외워야 할 게 너무 많다.

책을 한 권 샀는데, 필기시험 분량만 해도 1200쪽...

 

 

도서정보제공 웹 서비스를 깃허브에 업로드한 모습

이제부터라도 소스코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익혀야겠다.

 

 

 

 

 

개인 개발 프로젝트인 도서정보제공 웹 서비스에 관하여 말하자면

개발은 60% 정도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남은 기능은 관리자가 책 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하고

대출 현황 트렌드를 그래프로 볼 수 있게 시각화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책에 대한 리뷰를 작성, 수정, 삭제, 별점주기,

특정 도서에 대한 정보 읽기 등등의 기능

 

 

그러니까 정말 근본적인 정보제공으로서의 기능만 구현하면 된다.

근데 너무 힘들다...

 

웹 디자인부터 퍼블리싱, 프런트엔드, 백엔드, DB 스키마 설계, 모델링까지

혼자서 모든 걸 한다는 게 정말 쉽지 않다. 어디 물어볼 사람도 없고...

 

 

 

 

GitHub - Blanc-et-noir/LibraryService

Contribute to Blanc-et-noir/LibraryServic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Comments